지난 4일, 이대통령은 우리는 닌텐도 게임기 같은 거 못 만드냐고 하셨다. 이에 언론과 네티즌들이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클리앙 / 명텐도MB / 경향신문 장도리)
이 중, 경향신문의 장도리를 보고 생각난 게 있어 몇 자 적어보려 한다.
장도리에서 비판하고 있는 내용은 한국의 교육제도이다. 입시 위주의 현 교육 체제에서, 학생이 점수 기계, 로봇으로 묘사되는 것은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스티브 잡스, 미야모토 시게루 같은 인재가 탄생할 수 없다며 많은 사람들이 회의적으로 이야기 하곤 한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면 어떨까? 100명으로 구성된 게임 개발 회사가 있다고 하자. 100명이 모두 미야모토 시게루일 필요는 없다. 미야모토 시게루는 한 명이면 족하다. 게임은 아이디어만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없으면 재미 없는 게임이 나오지만, 아이디어맨만 모여서는 손에 잡히는 게임을 만들 수 없다. 게임이 만들어 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능력의 사람들이 필요하다.
몸담고 있는 게임 디자인 파트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자주 하는 이야기지만, 나는 게임을 디자인 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기본기를 고등학교까지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임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기본기는 무엇이 있는가? 요약하자면 국영수 능력이다. 목적에 잘 맞는, 잘 읽히고 오해 없이 이해할 수 있는 전달력 높은 기획서를 작성하기 위한 국어 능력,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영어 능력. 그리고 밸런싱을 하거나, 각종 파라메터를 정하고 평가하는데 필요한 수학 능력은 모든 상황에서 필요한 기본 능력이다.
많이 바라는 것도 아니다. 국어 능력이라면, 자기 소개서에 비문 없고 오자나 탈자 적고 읽을만하게 적을 수 있으면 합격이다. 영어는 사전 조금 찾아가며 가마수트라 기사 정도 읽을 수 있으면 되고, 수학은 고등학교 수준의 지수 로그함수와 확률통계 정도. 그리고 기본적인 논리만 알면 된다. 하지만 현실은 어떠한가? 답답하다. 이정도 기본기를 가진 신입 기획자를 찾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이다.
무엇이 문제일까. 점수를 내기 위해 배우는 국영수는 실제 국영수와는 다른 것일까? 아니면 성적 좋은 학생들은 모두 대기업만 가려고 하기 때문일까?
몇일 전 본 뉴스에서는 서울시가 100억 원의 재원을 확보해 청년인턴 1000명을 선발하기로 했다고 한다. (관련뉴스) 청년 인턴은 1인당 월 100만원씩 받고 10개월간 디자인 패션 게임관련 중소기업에서 일하게 된다는데… IT붐 때 학원에서 양산되어 나온 웹 디자이너와 함께 침몰해 버린 웹 디자인 시장이 생각난다.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 역사는 반복되기 마련이고…
태생이 이공계에 가방 끈은 짧고 문학적인 재능은 0점이라 무언가 멋진 말은 하지 못하겠고, 가방 끈이 많이 긴 친절한 은자씨의 말을 빌어 글을 마치고 싶다.
하향으로 구축한 문화’산업’은 결국 인형극 인형 사지에 질끈 묶인 시뻘건 금줄처럼 인형술사 의지대로 ‘생산물’의 소비자들을 비틀어댈 뿐이다.
아티스트, 파이팅!
좋은 말씀 잘 보았습니다. 미래지향적인 그런 사고방식을 가졌다면 그 사람은 그런 식으로 말하진 않았겠죠. 하냐 안하냐의 결과만 볼게 아니라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우리 아이들의 생활의 질, 배움의 질을 보아야 하는데… 그걸 바라는 건 무리겠죠? 참 서글퍼요. 제 자식들은 학교에 안보내고 싶네요. 아예 해외 진출을 하던지. 그냥 맘껏 놀 수 있게.
방문 감사합니다.
요즘 이민 알아보는 분들이 부쩍 늘어난 것 같네요.
나라의 미래가 어찌 될지 정말 걱정되고 궁금합니다.
핑백: 나만의 아이큐세상
삽으로 땅 파는 것이랑 게임기 개발 자체를 동일시 하는 한계죠.
생각이 뇌를 거치지 않고 입으로 바로 말이 튀어나오는듯 합니다.
그냥 청와대 지하 벙커에서 남은 기간 아무 말도 행동도 안하고
가만히 있다가 임기 마쳤으면 하는 바램이 간절 합니다 .
말 한마디 한마디에 국민들이 이리도 스트레스를 받으니 ..
그러게 말입니다…
좋은 글 잘 읽었구요,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많다는데 동의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공교육에서 고등학교까지 배우는 내용을 전부 알고있다면
상당히 뛰어난 교양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요즘 사람들을 보면 우리말을 똑바로 쓰는 사람조차 얼마 없더군요.
그걸 문제삼으면 대충 뜻만 통하면 되지 별걸 다 가지고 그런다는 식으로 대꾸하니
도리어 제가 기가 막힙디다.
하긴 심지어 방송자막이나 언론사 기자가 쓴 글에도 틀린 맞춤법에 비문이 가득하니
할 말이 없는 세상이죠.
이제 규칙을 지켜가며 일하는 사람은 희귀동물이 되어버렸으니…
전 제일 듣기싫은 구호가 “다시 뛰자”입니다.
70년대식의 속도만을 내기 위해 기본을 무시하는 행태가 한계에 이르렀는데
그걸 더 빨리 뛰는 것으로 만회하겠다니….
우리도 이제 당장은 느려보여도 기본을 차곡차곡 쌓아서 한 걸음씩 내딛는
그런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요즘 정부는 그걸 거꾸로 가는데 앞장서는 것 같아 답답할 따름입니다.
저도 시험점수를 위한 교육만 받아서 그런지 국어 실력이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글 하나를 쓰더라도 꼭 워드 등의 도움을 받아 교정을 하곤 합니다.
저도 희귀동물의 일종이라 생각하니 씁쓸하네요.
좋은 방향으로 변하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해도 결과를 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텐데, 계속 거꾸로 가는 모습이 보여서 저도 많이 답답해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런 글에 공감해 주시는 분들이 있다는 데에 희망을 가져봅니다.